Productivity App Design
대학생이었던 친구와 저는 한 고민에 빠졌습니다. 더 어려워지는 수업과 과제들, 교외 활동까지 병행 하려는 살인적인 스케줄에 눈앞이 깜깜 했습니다.
친구는 오랫동안 생산성 앱을 사용하고 있었지만, 사용하고 나니 정작 중요한 장기적인 목표들을 이루는 건 여전히 힘들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친구와 저의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생산성 앱을 디자인 해보고 싶었습니다. 여름방학 두달 안에 디자인을 완성해야 했습니다. 첫 2주 동안은 앱 디자인을 위한 기본적인 리서치를 했습니다.
ㅇㅇㅇㅇ
ㅇㅇㅇㅇ
ㅇㅇㅇ
사용자 정의하기
제 친구(조지아공대 컴퓨터 공학 대학생)를 포함한 67.5%의 조지아공대 학생들이 생산성 앱을 사용하고 있었기에, 이 가상 앱의 사용자들은 조지아공대 학생들로 겨냥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설문조사
조지아공대 학생들의 생산성 앱을 썼을 때 경험과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알기 위해 제 친구와 몇명의 조지아 공대 학생들에게 아래 질의 문답을 포함한 구글 문서를 이용해 만든 설문조사를 행했습니다.
전에 써본 생산성 앱들과 평가
단기 대 장기 목표의 의미 (지속 기간에 의해서인가, 빈도에 의해서인가?)
어떻게 생산성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하는 노력 및 관리)을 키우는지 - 중요도 순위 매기기, 카테고리로 매기기, 리스트 만들기 등
시장조사 / Market Research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생산성 앱과 효율성 앱을 비교하기 위해 시장조사를 했습니다. 각 앱의 목적과 기능을 비교함으로써 저는 제가 디자인 하려는 앱은 생산성과 효율성 앱의 융합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인사이트
우선순위 매기기
학생들은 다양한 종류의 목표들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 중
매번 그 종류들을 하나의 기준에 따른 우선순위로 매기기가 애매하고 번거로움
진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생산성 앱은 그 성과나 과정이 기록되지 않음
과정과 성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면 성과를 이어가기 더 쉬워짐
과정 기록하기 - Remembering Progress
장기목표는 어디서 멈추었고, 어디서 다시 시작해야하는지 기억하기가 힘듦
디자인
앱의 전체적인 플로우와 기능을 파악하고 배치하기 위해 사이트맵과 와이어프레임으로 제작했습니다. 이 둘을 제작하면서 앞에 발견한 개선점들을 해결하고 기존 앱들과 차이점을 둘 방안들을 생각 해냈습니다. 리서치 후 남은 한달 반 동안 순차적으로 3개의 디자인 테마를 구성하며 최종 디자인 테마를 디자인 했습니다.
1) 앱의 사용성
단기 목표인지 (Daily Task) 아니면 장기 목표인지 (Projects) 카테고라이징 기능
처음에는 단기 목표와 장기 목표를 각각의 페이지에 두려했으나, 메인 페이지를 달력처럼 그 날의 날짜로 설정하고 그 날짜에 해당하는 단기와 장기 목표들을 하나의 리스트에 넣는 것이 더 좋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렇게 하면 같은 날의 단기와 장기 목표들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필요가 없고, 그 날 해야 할 분량도 체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앱의 디자인 시스템
Material Design 가이드라인을 따랐습니다.
깔끔하고 정리된 느낌을 주고 싶어 흰색과 파란색 테마의 팔레트 사용
다양한 리스트 아이템들의 가독성을 위해 Roboto 타이포그래프를 선택
전체적인 브랜딩을 위한 로고 디자인
최종 디자인 / Final Solution
Hoy 는 안드로이드 용 생산성 앱으로, 단기 및 장기 목표를 이룰 수 있게 도와줍니다.
느낀점 / Takeaways
피드백은 금이다!
처음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여서 메신저로 친구들에게 디자인을 보여주고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디자인에서 효과적었던 부분은 강조하고, 애매했던 부분은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통일한 단어들로 소통하기
프로젝트 초반에 개발자인 친구와 소통할 때 단어 미스매칭으로 서로 헷갈렸던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후에 미팅으로 함께 정리했지만, 통일한 단어들로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